21일(현지시간) 뉴욕 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41.47포인트(2.15%) 상승한 30,530.25에 장을 마쳤습니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89.95포인트(2.45%) 오른 3,764.79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270.95포인트(2.51%) 상승한 11,069.30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증시 요약
- 최근 하락에 따른 반발 매수세 유입
- 기술주의 상승 견인
- 실적 개선 기대 에너지, 유통 업종의 강세
전날 뉴욕증시는 ‘노예해방의 날’을 기념해 휴장 하였습니다. 지난 일주일간 주가가 크게 하락한 뒤 이번 주 첫 거래일이지만 특별한 호재에 대한 재료가 없었습니다.
금일 뉴욕증시는 지난 주 미 연준(FED) 및 세계 각국의 중앙은행들의 긴축 정책과 경기침체 우려에 따른 급락에 반발 매수세로 상승 마감하였습니다.
연방준비제도(FED)는 0.75 포인트라는 공격적이 긴축 정책으로 세계 각 국 또한 금리인상을 고려하는 모습이며, 골드만삭스는 미국 경제가 내년에 경기침체에 들어설 가능성을 15%에서 30%로 상향 조정하였습니다.
반면, 모건스탠리의 마이클 윌슨 수석 주식 전략가는 아직 경기침체 가능성이 주가에 덜 반영되었다고 판단하였으며, 혹 경기침체가 발생할 경우 S&P500 지수가 3,000선까지 떨어질 것이라고 경고하였으며, 전미활동지수가 ‘0’인 것은 미국 경제가 성장 추세로 확장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이 발표한 5월 전미활동지수는 0.01로 추정치 0.04보다 하회하였으나 여전히 평균 성장세 유지하고 있다고 언급하였습니다.
□ Sector별 ETF 등락
- 에너지(XLE/+5.2%), 자유소비재(XLY/+2.9%), 필수소비재(XLP/+2.7%), 유틸리티(XLU/+1.9%), 커뮤니케이션(XLC/+0.7%) 등 지난주 급락에 따른 반등으로 일제히 모든 섹터 상승 마감
□ 테마별 ETF 등락
- 기술혁신(ARKK/+4.2%), 글로벌천연자원(GNR/+2.6%), 미국인프라개발(PAVE/+1.1%), 주거건축(XHB/+0.7%)이 상승
- 레져/엔터테인먼트(PEJ/-0.1%) 테마는 하락 마감
□ 특징주
- 에너지주 강세, 코로나 및 우-러 전장으로 원활한 석유 공급 3~5년 정도 예상
- 다이아몬드백에너지(FANG) $132.28 / +
- 엑슨모빌(XOM) $91.48 / +
- 켈로그(K) $68.86 / +
- 스피릿 항공(SAVE) $22.97 / +
- 테슬라(TSLA) $711.11 / +
□ 미 증시 시가총액 Top 10 기업 등락
□ 증시 주요 뉴스
- 도이체방크 "美 경기침체, 당초 예상보다 빠르고 심각할 것"
- WSJ "인플레·성장둔화 공포 충돌, 채권시장 변동성 확대"
- 블랙록 "연준, 경기 둔화 수준까지 금리 인상에 단호해"
- 리치먼드 연은 총재 "7월에 50~75bp 금리인상 꽤 합리적"
- 댈러스 연은 "휘발유 가격 급등, 美경제에 고통 줄 것"
- 골드만, 내년 경기침체 가능성 30%로 상향
- 댄 나일스 "증시 바닥 아직…실적, 끔찍할 수 있다"
- 스트레티저스 "약세장 반등 속지 마라…바닥 신호 아직"
- AI 기반 물류기업 심보틱 주가 급등…월마트가 지분 62.2% 보유
- 美 5월 기존주택 판매 3.4%↓…넉 달째 감소
증시 뉴스 출처 : 연합인포맥스(http://news.einfomax.co.kr)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욕증시| 6월 23일(목) 간밤의 미국 증시 요약(국채금리·유가 하락에 주요 지수 동반 상승) (15) | 2022.06.24 |
---|---|
|뉴욕증시| 6월 22일(수) 간밤의 미국 증시 요약(파월, 인플레이션 하락할 때 까지 금리 인상) (13) | 2022.06.23 |
|뉴욕증시| 6월 4주차 뉴욕증시 일정 (18) | 2022.06.19 |
|뉴욕증시| 6월 17일(금) 간밤의 미국 증시 요약(FOMC 여파와 경기 침체 우려 속에 혼조 마감) (32) | 2022.06.18 |
|뉴욕증시| 6월 16일(목) 간밤의 미국 증시 요약(파월의 약발은 다한 것인가...다우 3만선 붕괴) (20) | 2022.06.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