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상식

대한민국 시가총액 Top 100기업(코스피, 코스닥 포함)

by 튼실한 2022. 2. 24.
반응형
들어가며..

기회가 된다면, 세계 증시를 이끌고 있는 미국 기업의 시가 총액 Top 100대 상장기업을 한번 공부해보고 싶습니다. 1주일에 1편씩 글을 쓰면 2년, 1주일에 2편씩 찾아보면 1년이라는 시간이 걸리더군요. 문득 '우리나라 시가총액 순위도 잘 모르면서 미국 걸 공부한다고??' 스스로에게 반문하게 됩니다. 삼성전자가 1위, SK 하이닉스가 2위 인건 당연할 테고 그다음 순위가 뭐지?? 찾아봐야겠군요.


우리나라의 시가 총액 1위 기업은 누가 뭐래도 삼성전자입니다. 시가 총액이 무려 483조 원(우선주 포함)이나 됩니다. 대한민국 2022년 국가 예산이 607.7조 원인데 삼성전자 단일 기업군의 시가총액이 그 정도라니 대단하기만 합니다. 그리고 지난 1월 증시를 뜨겁게 달군 LG에너지솔루션(98조)이 상장과 동시에 2위 기업에 등극했습니다. LG에너지 설루션은 2020년 12월 LG화학에서 배터리 사업부문을 분할해서 설립한 기업입니다. 주식시장에서 모기업인 LG화학을 뛰어넘는 엄청난 힘을 발산하고 있습니다. 3위는 SK 하이닉스(90조 원)입니다. 삼성전자와 마찬가지로 반도체 생산 기업인데 삼성전자와의 격차는 어마어마 합니다.

시가총액 Top 3

대한민국 전체 기업 시가총액 1위부터 50위 가지의 순위를 보면 대부분 아시는 기업이며, 코스피에 상장한 기업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유일한 코스닥 종목인 셀트리온 헬스케어(9.3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모기업인 셀트리온이 헬스케어, 셀트리온 제약을 합병한다는 뉴스를 보았는데 그것이 성사되면 시총 순위도 많이 바뀌겠죠. Top 10 기업에 포함된 네이버(49.4조)와 카카오(40.1조) 입니다. 두 기업은 대표적인 인터넷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플랫폼 기업이지만 본인이 네이버와 카카오를 생각하기엔 '뭘 해서 기업을 이끌어 가지?', '포털사이트와 무료 문자서비스로 얼마나 벌 수 있어?' 다소 네이버와 카카오 기업에 대한 폄훼 아닌 폄훼를 하고 있었더군요. 하지만 한편으로 10년 뒤에 삼성전자는 망할 수 있어도 네이버와 카카오는 절대 망할 것 같지 않다는 생각도 아울러 하게 됩니다.

시총 TOP 50(22년 2월 23일 종가 기준)

시가 상위 50위 내에 있는 대기업 군에 속한 기업은 삼성그룹은 삼성전자를 포함한 8개, SK그룹은 SK 하이닉스와 SK이노베이션 등 7개, LG는 에너지솔류션, 화학을 포함하여 5개, 현기차 그룹은 현대차, 기아차를 위시해서 4개 기업이 속해 있습니다. 눈에 들어오는 종목은 하이브(11.6 조)인데 하이브(HYBE)는 “We believe in music”이라는 미션 아래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을 혁신하는 기업입니다. BTS가 소속된 회사로 그 성장이 어디까지인지 궁금합니다.

시총 51~100위22년 2월 23일 종가 기준)

우리나라의 시가 총액의 특장은 IT와 바이오 그룹이 우리나라 증시를 이끌고 있는 것 같습니다. 시가 총액은 구하는 방식은 주당 가격(당일 종가 기준) * 주식 발행수로 계산됩니다. 여러분도 아시다시피 주식 가격이야 매일 변화기 때문에 따라서 시가 총액도 달라지게 됩니다. 삼성전자를 제외하고는 당일 당일 주가 추이에 따라 시가총액 순위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나가며..

우리나라 증시는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이 있습니다. 주로 대기업 위주의 상장사가 있는 코스피, 중소기업이나 성장성이 있는 벤처 회사들이 주로 코스닥에 많이 상장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변동성이 매우 큰 시장이기에 지금의 시총 순위가 내일은 또 어떻게 달라질지 모릅니다. 주식을 하든 그렇지 않든 우리나라 증시에는 어떤 상장사들이 포진되어 있는지 살펴보는 것도 괜찮은 것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