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현지시간) 뉴욕 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46.87포인트(1.12%) 상승한 31,384.55에 장을 마쳤습니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57.54포인트(1.50%) 오른 3,902.62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259.49포인트(2.28%) 상승한 11,621.35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증시 요약
- 6월 고용보고서 발표 앞두고 인플레이션 완화 기대감... 3대 지수 상승
- 미 주간 실업보험 청구 23만 5천명... 월가 예상 상회
- 미 5월 무역적자 855억 달러... 두 달째 감소
- 국제 유가, 100달러 회복
이날 뉴욕증시는 오는 8일 발표되는 6월 고용동향보고서 발표를 앞두고 3대 지수 모두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그리고, 최근 지수 급락에 따른 저가 매수세가 이어진 가운데, 6월 고용동향보고서 발표를 앞두고 이날 발표된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인플레이션 완화 기대감이 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습니다.
美 노동부는 지난주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계절 조정 기준으로 전주대비 4,000명 증가한 23만5,000명으로 집계는데,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 23만명 보다 다소 부진한 수치입니다. 그레이 앤드 크리스마스(CG&C)에 따르면, 6월 감원 계획은 3만2,517명으로 전월 2만712명보다 57% 증가했습니다. 이는 2021년 2월 3만4,531명 감원 발표 이후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그리고, 미국의 5월 무역적자는 전월 대비 11억 달러(1.3%) 감소한 855억 달러를 기록해 두 달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지만,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 847억 달러보다는 상회했습니다.
美 2년물과 10년물 국채금리의 역전 현상은 이어졌지만, 전일보다 역전폭은 축소됐으며, Fed 위원들이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경기 둔화의 위험을 감수할 수 있다는 의지를 드러내면서 美 국채금리가 일제히 반등한 가운데, 10년물 국채금리와 2년물 국채금리는 일제히 3%대로 올라섰습니다. 오후 3시 기준(동부시간) 10년물과 2년물 격차는 전 거래일 -3.5bp에서 -2.3bp로 축소됐습니다.
국제유가는 반발 매수세 유입 등에 급등하였으며,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8월 인도분 가격은 전 거래일 대비 4.20달러(+4.26%) 급등한 102.73달러에 거래 마감하였습니다.
달러화는 최근 강세 흐름에 따른 관망세 속 소폭 강세를 기록했으며,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8거래일만에 반등하였습니다.
□ Sector별 ETF 등락
- 에너지(XLE/+3.5%) ETF와 자유소비재(XLY/+2.5%) ETF 상승
- 필수소비재(XLP/+0.1%) ETF가 약세 마감
□ 테마별 ETF 등락
- 기술혁신(ARKK/+6.4%) ETF와 비트코인(BITO/+7.6%) ETF 등의 전반적인 테마 ETF가 상승
□ 특징주
- 반도체 관련주 강세
- AMD(AMD) $79.30 / +
- 엔비디아(NVDA) $158.58 / +
- 인텔(INTC) $38.14 / +
- 게임스톱(GME) $135.12 / +
- CFO 교체…감원 계획 발표
- 리바이스(LEVI) $16.41 / +
- 실적 호조에 배당금 인상…주가 상승
- 2분기 매출은 14억7천만 달러, 월가 예상치 14억3천만 달러 상회
- 주당순이익도 조정기준 주당 0.29달러, 시장 예상치 0.23달러
- 베드배스앤드비욘드(BBBY) $5.44 / +
- 임시 최고경영자(CEO) 주식 매수에 호재로 작용
□ 미 증시 시가총액 Top 10 기업 등락
□ 증시 주요 뉴스
- 월러 연준 이사 "7월에 75bp 금리 인상 지지"
-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미 경제, 2022년 확장세 유지할 것"
- ECB "많은 위원, 당초 7월에 큰 폭 금리인상 선호
- 경기침체 우려에 美 30년 고정 모기지 금리 5.30%대로 하락
- 파이퍼샌들러 "연준 긴축에 미 장단기 국채수익률 역전 지속"
- 미국 휘발유 평균 가격, 갤런당 5달러 아래로
- 영국 파운드화, 급등…보리스 총리 낙마에 반색
- EIA 주간 원유재고 823만4천 배럴 증가…WTI 가격 5%↑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욕증시| 7월 2주차 뉴욕증시 일정 (15) | 2022.07.11 |
---|---|
|뉴욕증시| 7월 8일(금) 간밤의 미국 증시 요약(뉴욕증시 혼조 마감 "7월 0.75%P 인상 지지") (20) | 2022.07.09 |
|뉴욕증시| 7월 6일(수) 간밤의 미국 증시 요약(FOMC 의사록 '물가안정' 공개에 소폭 상승) (26) | 2022.07.07 |
|뉴욕증시| 7월 5일(화) 간밤의 미국 증시 요약(경기침체 우려속에 증시 혼조세...유가 8.2% 폭락) (18) | 2022.07.06 |
|뉴욕증시| 7월 1주차 뉴욕증시 일정 (16) | 2022.07.04 |
댓글